[부자해커는 경매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미납 물건 분석 방법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부자해커는 경쟁 없는 물건을 찾는 것이 경매 투자의 핵심을 강조합니다]

대법원경매 미납 부동산
대법원경매 미납 부동산은 낙찰 후 다시 경매에 나오는 물건으로, 특수물건으로 분류되며, 부동산스터디에서는 이런 물건의 가치를 절대 알려주지 않습니다.
보통 미납 부동산은 보증금이 10%에서 20~30%로 높아져 많은 투자자들이 접근을 꺼리게 되며, 대법원경매 아파트의 경우, 권리 분석만 잘해도 최소 몇천만 원의 투자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미납 물건은 경쟁이 적어 시세보다 낮게 낙찰되는 경우가 많아, 경쟁 없는 투자 기회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법원경매 상가 미납의 경우, ① 아파트보다 더 큰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으며, ② 간단한 분석 방법만 익혀도 새로운 투자 포인트를 발견할 수 있으며, ③ 이런 이유로 부동산스터디에서는 알려주는 것을 꺼려 합니다.

미납 상가 분석
대법원경매 미납 상가 투자 시 권리 분석, 물건 분석, 수요 분석이 중요하며, 특히 수요 파악이 핵심입니다.
상가의 위치, 주변 환경(시장, 대학교 등), 이용 고객층( 중장년층 등)을 고려하여 수요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데, 로드뷰를 통해 상가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여 공실률 변화와 업종 변화를 통해 어느정도 수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예측을 바탕으로 네이버 부동산 등을 활용해 미납 상가 주변 상가의 월세, 매매가, 수익률 등을 파악하여 투자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상가의 방향(동향, 남향 등)과 도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예측한 수요의 동선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납 상가 분석 시 고려하는 세 가지
대법원경매 미납 상가 투자는 ① 권리 분석, ② 부동산 하자, ③ 위치 등 세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첫번째 권리 분석 시 사업자 등록 신청일과 말소 기준 권리를 비교하여 대항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 미납 상가 물건 하자 확인을 위해 사용승인일을 통해 건물의 연식을 파악하며, 이는 투자 결정에 중요한 요소이며,
마지막으로, 상가 투자는 아파트와 달리 많은 사람들이 위치에 대한 접근 방식을 잘 모르기 때문에, 제대로 배우면 큰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매우 중요한 포인트라서 '미납 상가의 핵심요소'에서 더 알려드리겠습니다.

미납 상가의 핵심요소
대법원경매 미납 상가 투자에서 위치와 방향은 권리 분석보다 100배 더 중요하며, 동서남북 파악이 필수적이라고 계속 강조해 드렸습니다.
상가의 수요 파악이 핵심이며, 특히 상업지역에 위치한 상가는 난도가 높아 정확한 수요 분석이 중요하지만, 로드뷰를 통해 상가의 공실 여부와 간판 확인이 기본이며,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를 추적하여 상권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법원경매 미납 상가 건물과 주변 상권의 변화를 관찰하여 해당 물건의 투자 가치를 판단해야 하며, 상가를 이용하는 주요 고객층(예: 중장년층, 대학생 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업종 선정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오늘 부자해커 블로그에서는 부동산스터디에서도 잘 알려주지 않는 대법원경매 미납 상가에 대해서 다뤄드렸습니다.
경매에서 미납된 부동산은 아파트조차 투자자들이 어려워하고 여기에 상가라는 난이도가 더해지면 더 어려워하게 됩니다.
하지만, 미납 상가에 대해서 하나씩 배우고 하나씩 알아가면 대법원경매로 미납 상가에 도전할 수 있고 결국에는 경쟁 없이 대박 상가를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상가의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는 강의를 부자해커가 준비 중에 있습니다.

'경매투자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법원경매 피곤한 아파트 VS 경쟁 없는 상가 (1) | 2025.03.07 |
---|---|
대법원경매 상가주택 투자와 용도변경 (0) | 2025.03.06 |
대법원경매에서 선순위 전세권이 안전한 조건 두 가지! 배당요구, 임의경매 (0) | 2025.02.27 |
토허제와 금리가 대법원경매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27 |
토허제와 금리가 대법원경매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26 |